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javascript
- 안드로이드
- 패널 교체
- 리스트 뷰
- Overloading
- js
- Android
- Kotlin
- 코틀린
- go
- var
- Array
- 오버로딩
- 노트북
- as?
- ListView
- 배열
- 함수
- HP
- 자바스크립트
- node.js
- 파이썬
- 노트북 추천
- 싱글 스레드
- 자바
- 연산자
- adapter
- Python
- golang
- Java
- Today
- Total
목록server (2)
Bbaktaeh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qmlGe/btq2P4y4188/eCbJKZlkFyfAZbTLhKpMg0/img.png)
가끔 코딩이 지루해질 때 온갖 잡생각을 하면서 멍 때리곤 합니다. 역시 이번에도 어김없이 찾아온 지루함 때문에 딴생각을 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Node.js의 네트워크 I/O를 느껴보고 싶다.. 공식 문서 따라하기 Node.js의 공식 문서를 보면서 따라 해 봤습니다. 글로 몇 번이나 봤던 내용인데 실제로 동작 과정을 눈으로 보고 싶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작성된 코드를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서버 코드가 작성된 index.js, 서버에 요청과 응답을 테스트할 수 있는 test.sh을 작성했습니다. 서버의 응답을 좀 더 늦추기 위해서 서버 코드에 timeout 코드를 추가했습니다. 2초 뒤에 응답을 받을 수 있도록 작성했습니다. 쉘 스크립트에는 5번의 curl 요청을 보내도록 작성했습니다. 과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bDzq/btqHEFVHV4M/NKxCcHXhTPK9deiC6q72Q0/img.png)
HTTP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상호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자 현재 표준은 HTTP/1.1 특징 HTTP 프로토콜은 TCP/IP 통신 위에서 동작함 비연결성(connectionless)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할 때 연결하고 응답을 받으면 연결을 종료하는 방식 계속 연결을 유지하지 않음 비상태성(stateless)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각각의 데이터 요청이 서로 독립적 이전에 어떤 요청을 했는지 절대 알 수가 없음 누가 요청했는지 알기 위해서 session & cookie 또는 token을 사용해야 됨 처리과정 HTTP Request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뜻함 HTTP Response는 서버에서 클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