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연산자
- Android
- js
- 패널 교체
- Overloading
- 자바스크립트
- 오버로딩
- Kotlin
- 안드로이드
- 싱글 스레드
- HP
- var
- Python
- 리스트 뷰
- 파이썬
- Array
- as?
- 노트북 추천
- golang
- ListView
- go
- 함수
- javascript
- 노트북
- 자바
- node.js
- 코틀린
- adapter
- 배열
- Java
- Today
- Total
목록cluster (2)
Bbaktaeh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xESg/btsIMzLLOrO/4HmNUeBOr8xZu49DF8RC4K/img.png)
개요특정 블록체인 데이터를 인덱싱하기 위해 재단에서 제공하는 오픈소스 인덱서를 사용 중이었다. 인덱서는 Rust로 구현되어 있으며 PostgreSQL에 데이터를 인덱싱한다.인덱서는 프로세싱 기준마다 서로 다른 프로세서로 분리되며 서로 의존 없이 배포가 가능하다.모든 프로세서를 구동했을 때 약 70개의 테이블에 데이터를 적재하고 있었고 테이블은 모두 단일 테이블이었다.점점 증가하는 블록체인의 데이터 때문에 테이블은 매우 무거워졌으며 row 개수도 100억 개가 넘는 테이블도 존재했다. PostgreSQL의 특징 중 VACUUM 이라는 중요한 특징이 있다.보통 자동으로 해당 작업을 진행하면서 데이터베이스 팽창을 막고 쿼리 계획에 이점을 제공한다.하지만 테이블이 커지면서 VACUUM 자체의 성능도 나빠지기 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qmlGe/btq2P4y4188/eCbJKZlkFyfAZbTLhKpMg0/img.png)
가끔 코딩이 지루해질 때 온갖 잡생각을 하면서 멍 때리곤 합니다. 역시 이번에도 어김없이 찾아온 지루함 때문에 딴생각을 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Node.js의 네트워크 I/O를 느껴보고 싶다.. 공식 문서 따라하기 Node.js의 공식 문서를 보면서 따라 해 봤습니다. 글로 몇 번이나 봤던 내용인데 실제로 동작 과정을 눈으로 보고 싶었습니다. 공식 홈페이지에 작성된 코드를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서버 코드가 작성된 index.js, 서버에 요청과 응답을 테스트할 수 있는 test.sh을 작성했습니다. 서버의 응답을 좀 더 늦추기 위해서 서버 코드에 timeout 코드를 추가했습니다. 2초 뒤에 응답을 받을 수 있도록 작성했습니다. 쉘 스크립트에는 5번의 curl 요청을 보내도록 작성했습니다. 과연..